웹소캣

DevOps

서버에 wss연결을 해보자 ( Nginx, Https, wss)

스터디 프로젝트 프론트클라이언트 모두에 Https가 적용되어 있기에 웹소캣 또한 wss로 통신을 한다. 그렇기에 우선 로컬에서 wss를 임시로 적용하여 테스트를 해보자. 백엔드(Spring Boot)는 여기를 참고하여 적용하였고, 프론트(React)는 여기를 참고하여 적용했다. 우리가 인증한 방식은 웹 상에서 널리 사용되는 공식 CA가 아닌 서드파티 CA이기에 (즉, 해당 인증기관의 공개키를 브라우저가 알 방법이 없기에) 이렇게 주의를 요한다고 뜨긴 하지만,, 그래도 https는 잘 적용이 되었다. 애초에 웹소캣으로 http연결이 업그레이드될 때 https라면 wss로 연결하기에 당연히 잘 적용이 되었다. 하지만 현재 ec2로 배포중인 서버는 nginx를 웹서버로 사용하고 있다. 그리고 우리 웹서버는 리..

Spring

웹소캣이란?

이번 스터디 프로젝트에서 채팅기능을 구현해야 하기에 간단하게 개념 정리를 먼저 해보려 한다. 웹소캣을 통한 채팅의 경우 이미 구현해본 경험이 있지만 그땐 제대로 모르고 쓰기도 했고 시간도 좀 지났기에 다시 정리를 하면 나중에 오류를 잡는데에도 도움이 될 거라 생각한다. 소캣통신이란 HTTP와 같은 연결 프로토콜이며 이를 이용하여 실시간성이 필요한 게임,채팅등을 구현할 수 있다. 최초로 서버와 클라이언트가 연결을 시작할 땐, HTTP와 같이 Handshake를 하여 연결설정을 하지만 그 이후 데이터 전송에서 Header부분에 필요한 정보들이 훨씬 적기에 서버-클라이언트간 빠른 정보 전달이 가능하다는 특징이 있다. 또한, 전방향성을 가져 하나의 채널로 송,수신을 할 수 있다. 아래의 사진처럼 , HTTP환경..

시롱시롱
'웹소캣' 태그의 글 목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