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acheable

Spring

부하 테스트 하기 (6) - 성능 개선 with Cache

마스터 슬레이브 구조를 적용하기 전, 근본적으로 커넥션 풀의 갯수를 좀 늘려보려 한다. 여기를 참고해서, 히카리에서 제공하는 풀 사이즈 대로 계산을 해보자 Tn * (Cm -1) +1 즉, 최대 쓰레드 수 * ( 하나의 쓰레드가 작업에 필요한 커넥션의 수 -1) +1 이 최적의 커넥션 풀 크기이다. 현재 그룹 정보 조회 API를 호출하게 되면 생기는 트랜잭션은 총 4개 이다. 해당 API가 그룹 서비스에서 가장 많은 로직이 포함 된 메소드를 사용하기에 우선 커넥션의 수를 4로하고 커넥션 풀의 크기를 계산해보면 10*3+1 =31이 된다. 이를 application.yml에 추가해보자. spring: datasource: hikari: maximum-pool-size: 40 VUser=50으로 한 테스트의..

시롱시롱
'@Cacheable' 태그의 글 목록